본문 바로가기

논문 이야기

논문작성 10단계

논문을 써 보지 않은 대학원생에논문(Dissertation, thesis)은 곤혹스러운 과정이다. 그러나 걱정만 하고 시간을 보내다가는 정해진 기간 내에 졸업하기란 쉽지 않다. 막연하게 논문은 쓰면 되지 무슨 전략이 필요하지? 하고 궁금할 수도 있지만, 전략 없이 접근하다 보면 5년 10년이 가도 학위 취득이 어렵다.

 

필자가 박사과정 지도교수님의 오래된 노하우를 나름의 표현방식으로 다듬어 논문쓰기 10단계 표와 그림으로 정리하였다. 대학원 입학 이후 지도교수가 위촉 되면 제일 먼저 졸업계획서(또는 논문계획서)를 작성해야 한다. 꼭 단계별로 접근해야 한다. 간혹 단계를 건너뛰어 불쑥 “ㅇㅇ 분야를 연구해 보고 싶다거나”, “ 평소 관심 있던 주제를 들고 와 이것을 연구하기로 한다” 며 자기 생각을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절대로 피해야 한다. 논문은 과학적 연구 과정인 이론 →가설 → 관찰 → 경험적 일반화에 따라 그의 과학적 조사의 절차와 과정도 순서에 입각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단계 내용 비고
1 졸업계획서 작성(논문계획서 작성) Coursework에 따른 졸업계획
2 연구문제 참고문헌 100편을 검색하여 연구주제를 결정. key논문 및 주요 참고문헌은 한글 파일로 검색하여 수집
3 2차자료의 검색 및 분류 및 정리 선행연구논문 정리하기(Taxanomy)
4 선행연구모형 정리하기 관련연구 박사학위 논문50편 이상 분석하여 정리(Excel 등)
5 내 연구모형 작성 연구자의 연구모형 2개 이상 설정(독창성) 
6 연구방법 정리 가설에 적합한 연구설계(질적 또는 양적 연구 결정), 선행연구, 이론적배경 정리, 측정도구(연구변수의 구성개념)의 조작적 정의 정리(사회과학연구에서 주로 설문을 이용), 통계프로그램 결정
7 자료수집 모집단과 표본설계, 변수의 수에 맞는 표본수 계산, 신뢰수준 및 유의수준에 맞는 자료수 계산, 통계패키지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자료(응답)수 계산 등
8 자료분석 통계분석(자료의 이상치, 결측지 정제작업, 인구통계학적 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등의 측정도구에 대한 기초 분석, 평균차이검정, 분산분석, 회귀분석, 조절 및 매개 회귀분석, 측정모형분석, 구조모형분석 등의 검정통계량 분석)
9 검정 가설의 채택 및 기각 결정(신뢰수준과 유의확률 p 등 결정)
10 논의 및 결론 연구요약, 기존 선행연구와의 결론 비교,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 제시, 연구한계 및 제언

 

Taxanomy - 선행논문을 주제, 변수, 연구대상, 분석결과 등으로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

 

 

이 10단계에서 제 1단계인 '졸업계획서를 작성하라'는 것은 대학원 입학이후 최종 논문을 인준받고 졸업하기까지의 과정을 정리하여 발표하는 것을 말한다. 코스웍이 2년 또는 3년의 과정이기에 이 코스웍이 끝나는 시점을 최종시한으로 설정하여 역산으로 각 시기에 필요한 논문의 작성과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어찌보면 학위논문의 roadmap이다.

 

 

출처: 필자의 지도교수님의 10단계 요약정리

 

중요한 것은 논문인데, 논문 10단계가 입학 후 졸업할 때까지 시기별 반영되어야 한다.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박사과정의 경우 KCI 등재학술지 또는 KCI 등재후보지에 학술논문(소논문) 1~2편(각 대학원 규정)의 게재를 필수 졸업논문 심사요건으로 규정하기 때문에 학술지 게재 일정이 반영되어야 한다. 학술지 투고에서 게재까지는 대략 3개월 내외가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졸업논문 심사일을 역산하여 논문을 진행하여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여기서 덧붙일 것은 박사과정이 비교적 장기 Race임을 감안하면 순수한 Coursework(학위과정)와 논문작성 외에 자신의 나이, 가족들과의 관계, 사회에서의 활동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간혹 학위과정 중에 자신의 사회적인 역할의 변화로 인해 학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중도 휴학을 하거나 휴학 후 복학하지 못하고 수료로 마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졸업계획서는 말 그대로 입학에서 최종 논문을 패스하고 졸업하기까지의 내용이 포함된 마스터플랜(Master Plan)이다. 우리나라의 박사과정 이수자의 평균나이가 34세이고, 직장생활을 병행하면서 학위과정을 진행하다 보면 사회적으로 매우 바쁜 시기에 과정을 밟고 있기에 오로지 학업에 전념한다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가 않다. 따라서 짜임새 있게 일정을 짜고 이를 서재 앞에 붙여 놓고 눈으로 보는 관리(Visual Management)를 할 필요가 있다. 모든 과정이 그렇지만 계획이 계획처럼 진행되지 않는다는 경험칙을 적용한다면 계획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다음 글에서 계속. . . .

'논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쓰기도 [전략]이 필요하다  (0) 2023.11.13
논문 통계는 어떻게 할까?  (0) 2023.11.11
연구논문의 요건  (0) 2023.11.10
논문이란?  (0) 2023.11.09
논문쓰기에 대한 회고  (2)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