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 연구자라면 “논문이란 도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써야 하는가?”라는 고민을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논문의 정의와 과학적 연구방법, 리포트와의 차이, 그리고 학위논문·학술논문의 특징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논문의 정의 – 체계적인 학술 연구의 결과
국어대사전에서는 논문을
“어떤 문제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체계적으로 적은 글”
이라고 정의합니다.
여기서 **‘학술적’**이란, 연구 과정이 과학적 방법에 따라 전개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과학적 방법”의 이해는 논문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 연구자라면 “논문이란 도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써야 하는가?”라는 고민을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이번 글에서는 논문의 정의와 과학적 연구방법, 리포트와의 차이, 그리고 학위논문·학술논문의 특징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단계 내용
2. 과학적 연구 방법의 5단계
논문은 일반적으로 다음 5단계의 체계적인 절차를 거쳐 작성됩니다.
1. 문제확정 | 연구 과제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연구 틀(framework)을 설정– 동일한 주제의 반복(‘차바퀴의 재발견’) 방지 |
2. 문헌고찰 | 선행 연구와 기존 이론을 조사 및 분석– 기존 연구자들의 접근법과 증거 파악, 중복연구 방지 |
3. 과학적·체계적 연구방법 | 설문, 실험, 자료분석, 통계 등 적절한 과학적 방법론 활용– 체계적이지 않으면 타당성과 객관성 인정 불가 |
4. 결과 고찰·토론 | 수집된 결과를 분석하고 논리적으로 해석, 연구의 시사점 도출– 창의성, 새로운 해석 제시 |
5. 결론 도출 | 최종적으로 연구의 해답 및 한계, 후속 연구 방향 제시 |
3. 논문 vs 리포트 – 무엇이 다를까?
- 리포트는 특정 사실, 사건, 현상을 관찰·조사·실험 등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는 글입니다.
→ “정확성”과 “결과 정리”가 가장 중요
→ 단, 리포트에 개인의 주장이나 해석이 많이 포함되면 논문 성격에 가까워짐 - 논문은 새로운 사실, 해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과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진행된 ‘학술적 글쓰기’**라는 점이 본질적 차이입니다.
4. 연구논문, 학술논문, 학위논문 – 차이점 정리
✔ 연구논문
-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사실/현상 발견
- 새로운 방법론 제시
- 일반 원리·법칙 수립, 새로운 해석 시도 등
- 학회지·논문집 등에 발표하는 것이 일반적
✔ 학술논문
- 각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논문집)”에 게재
- 한국연구재단(KCI) 등록 학회에서 심사 기준 통과 후 게재
- 논문 심사·투고 규정 엄격
✔ 학위논문
- 대학/대학원에서 학사·석사·박사 학위 취득을 위해 제출
- 각 기관(대학/대학원)의 규정·양식·체제·분량을 엄격히 따라야 함
- 단행본과 같은 독립된 형태로 제출, 외부 심사위원의 평가 필수
5. 정리하며
논문은 단순한 리포트, 감상문, 에세이와는 다릅니다.
과학적 방법에 근거한 체계적 연구, 명확한 문제의식, 논리적 결론, 그리고 학술적 기여가 모두 요구됩니다.
- 연구자는 항상 문제 정의 → 문헌고찰 → 체계적 방법 → 결과 분석 → 결론
이 5단계를 의식하며 논문을 써야 합니다. - 논문, 학술논문, 학위논문의 차이를 분명히 알고 각 규정에 맞게 준비하세요!
📢 논문 작성법, 학술논문 투고 팁, 학위논문 준비 상담이 필요하신가요?
댓글이나 문의하기로 남겨주시면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도움 드리겠습니다.
저작권·출처: 경영지도사 김기중 박사
(무단복제·전재 금지, 공유 시 출처 표기)
'논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작성 10단계 (2) | 2023.11.15 |
---|---|
논문쓰기도 [전략]이 필요하다 (0) | 2023.11.13 |
논문 통계는 어떻게 할까? (0) | 2023.11.11 |
연구논문의 요건 (0) | 2023.11.10 |
[논문쓰기가 힘든 당신에게] 예비 석박사 경험에서 드리는 현실 조언 5가지 (2)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