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사학위논문

연구논문의 요건 논문을 쓰다보면 수필이나 리포트와는 다른 논문이 되기위한 여러 요건들이 필요하다. 필자는 수 많은 논문을 읽고 쓰면서 논문이라는 글쓰기가 반드시 필요한 다음과 같은 요건들이 있음을 알았다. 무언가를 연구하여 글로 표현된 것에는 이러한 것들이 있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한다.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지금 세상에 있는 무수히 많은 것들, 많이 알려진 것들, 누구나가 쉽게 알 수 있는 것들은 연구주제로 삼기에는 무의미한 일이 될게 뻔하고, 연구라는 것이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그 무엇이여도 제 삼자의 입장에서 혹은 심사자의 입장(결국에는 심사를 받기에)에 별거 아닌 것이 되어서는 전혀 쓸모없는 종이조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나는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과 '그럼 무엇이 다른가'라.. 더보기
논문이란? 논문은 “어떤 문제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를 체계적으로 적은 글”로 정의되어 있다(국어대사전). 여기서 '학술적'이라는 말은 연구과정이 과학적 방법에 따라 전개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과학적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논문의 개념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과학적 방법이란 다음과 같은 다섯 단계의 체계적인 절차를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단계 내용 1 문제확정 연구과제의 본질에 대해 분명히 이해하고, 연구수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틀(framework)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차바퀴의 재발견’ 회피) 2 문헌고찰 비슷한 문제들을 다른 연구자들은 어떻게 접근하고 다루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동일한 연구의 반복을 피하고 연구수행에 도움을 얻게 된다. (선조들의 이론 이해와 증.. 더보기
논문쓰기에 대한 회고 필자는 지난 시간 많은 논문을 접하고 쓰던 시절에 나의 논문만이 아닌 많은 석박사 학위를 따기(?) 위해 고뇌하고 애쓰는 학우들을 많이 지켜봤다. 이미 석박사 학위를 받으신 분들이나 지금 그 것을 취득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든 예비 석박사 분들이나 논문 쓰기는 어찌되었던 그리 달갑지 않은 고행의 과정이리라 생각한다. 지난 시절 같은 대학원 동료 원우들, 후배 원우들 그리고 외부대학 학생들까지 다양한 형태로 논문쓰기를 돕고 가르치던 세월이 벌써 7년이 흘렀다. 지금은 그 덕에 모교 대학원 교수도 하고 했으니 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필자가 느끼는 논문은 지금까지 써왔던 시나 수필 혹은 이력서나 자기소개서와는 전혀 다른 세계라는 것을 느꼈다. 이것들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무형식의 글이지만 학위논문은 반.. 더보기